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T 거더 공법

Home > 사업분야 > ST 거더 공법

공법 특징

  • 형고효율

    바닥판 플레이트와 하현재를 적정간격으로
    이격 배치하여 빔요소의 복부재와
    일체화하는 부재 구성으로 적정 형고와
    소요 강성을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확보하는 거더 제작 공법

  • 단면효율

    복부재를 이용한 형고 조정과 소구경의
    하현재 적용으로 부재 제작 공정이
    용이하고 단면효율성이 우수한
    외부 보강형 거더 공법

  • 적용유연성

    상로교와 하로교의 교량 형식에
    적용이 가능하여 중경간 및 장경간
    의 교량 계획에 유리한 공법

  • 구조확장성

    바닥판과 하현재의 형상과
    형식 반영의 제한이
    적어 구조확장성이
    우수한 거더 제작 공법

트러스 부재 구성 및 거동으로 부재 효율 극대화

상,하부 외측부재의 전단면을 유효 단면으로 이용하는 구조계로 부재 효율 극대화

ST 거더부재

ST 거더 적용 교량 부재 구성

상현재의 하부플랜지와 복부재 플랜지가 곡면으로 연결되는 공유 부재

연결부에서 발생되는 응력집중 현상을 배제 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부재구성

주부재 응력 분포 특성

강관 하현재와 상현재를 복부재가 연결하는 트러스 구조로 상,하부 외측부재의 전단면을 유효 단면으로 이용하는 구조계로 부재 효율 극대화

복부재 연결부 응력 분포

복부재와 상현재 연결부에서 단면 급변에 의한 응력 집중 현상 해결

일반 트러스 복재 연결 형상

ST 거더 복재 연결 형상

현재와 복부재의 연결 절점 특성 반영 부재 구성
복부재 연결 절점은 상현재측에서 변위와 응력이 크게 발생되므로 복부재의 플랜지 연결 확대부를 상현재 측에 설치하는
부재구성으로 응력 집중 완화 효과 및 구조적인 안정성 확보
소요 강성은 복부재 높이만으로 확보 가능
교량 설치 조건에 따라 형고, 강성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설계 변수가 다양하여 효율적인 부재 구성이 가능

공법 비교

  • ST거더는 외부 보강형 거더로 협소한 강관 내부 보강 작업이 불필요한 공법
  • 원형 강관 거더의 강성 확보를 위한 보강방법으로 내부와 외부 보강형으로 구분됨

강관 내부 보강형 일반공법

거더 강성 증가를 위한 강관 내부 보강형 거더

  • 강관 내부에서 보강재의 반입 및 용접 작업으로 용접 품질 확보
    및 작업성 불리
  • 좁고 밀폐된 공간에서 정밀성을 요하는 용접 작업으로 작업자 보건
    및 안전 확보 곤란
  •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해 소규경의 강관 적용이 곤란하여 대구경 강관
    자재 사용 및 부재 효율성 확보 제한

ST거더 공법 (외부 보강형)

외부 보강형 거더

  • 거더 강성 확보를 위한 강관 내부 작업이 불필요
  • 용접작업 환경 확보로 정밀 한 작업과 고품질의 제품 생산
  • 소규경의 강관 사용이 가능하므로 효율적인 단면계획

구조 안전성

  • 제원 순지간 71.3m, 폭 5.0m 보도교의 안전성 검토
  • 부재 응력검토

강관 내부 보강형 일반공법